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저가커피의 경제학' : 1,500원짜리 커피로 영업이익 1,000억 원을 달성한 메가커피

by 다다익선/건강•돈•재미•지식 2025. 4. 5.

커피가 저가라고 이익도 저가가 아니다.

 

최근 메가카피가 영어이익 1000억을 돌파했다는 소식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메가커피는 매출은 4959억원, 영업이익 107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스타벅스의 매출액 ​3조 1,001억원​, 영업이익 1,908억원​에는 못 미치지만 영업이익률은 21.7%로 스타벅스 6.1%의 3배를 넘어서 저가 커피의 경제학을 새롭게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1,500원짜리 커피를 판매하면서도 4800원짜리 커피를 판매하는 스타벅스를 능가하는 수익성에는 어떤 뒷얘기가 숨어 있을까요? 저가커피 시장의 경제학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메가커피

 

1. 메가커피의 현황

메가커피는 2024년 기준으로 전국에 약 3,500개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사를 운영하는 앤하우스의 2024년 매출액은 약 4,9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5.4%의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영업이익은 1,076억 원으로 영업이익률 21.7%를 기록하며 높은 수익성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가맹점 점포당 평균 매출은 약 3억 2,891만 원이며, 일반적인 커피 프랜차이즈의 영업이익률(15% ~ 20%)을 적용하면 가맹점주의 추정 연간 영업이익은 약 4,933만 원~ 6,578만 원수준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이는 매장 위치와 운영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메가커피의 성장과 프랜차이즈 모델

메가커피는 현재 국내에서 약 3,500개의 가맹점을 운영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렴한 가격과 대용량 콘셉트를 앞세워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메가커피의 주요 성공 요인은 가맹점 중심의 프랜차이즈 모델에 있습니다. 전체 매장 중 직영점은 20개 미만으로, 대부분이 가맹점 형태로 운영됩니다. 본사는 가맹점에 원두와 각종 자재를 공급하며 가맹비, 로열티, 교육비 등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프랜차이즈 모델의 가장 큰 장점은 빠른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가맹점주들이 초기 투자 비용을 부담하며 매장을 운영하기 때문에 본사는 대규모의 자본 없이도 브랜드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메가커피는 단기간에 많은 매장을 오픈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3. 원가 절감과 효율적인 운영

저가커피 브랜드들의 핵심 전략 중 하나는 원가 절감입니다. 메가커피는 대량 구매를 통해 원두 및 원자재 비용을 낮추고, 메뉴를 단순화하여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테이크아웃 중심의 매장 운영 방식을 도입하여 인건비와 운영비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 덕분에 메가커피의 영업이익률은 무려 21.7%에 달합니다. 이는 스타벅스 코리아의 6.1%보다 훨씬 높은 수치로, 원가 절감과 효율적인 운영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가맹점당 평균 매출은 약 3억 2,891만 원이며, 일반적인 커피 프랜차이즈의 영업이익률이 15~20% 수준인 것을 고려할 때 가맹점주들의 수익도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4. 1500원 저가에도 남는다?

저가커피 시장은 경쟁이 치열합니다. 메가커피뿐만 아니라 빽다방, 컴포즈커피, 더벤티 등도 저렴한 가격과 대용량 커피를 앞세워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이 포화 상태에 접어들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브랜드 간 차별화 전략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주요 저가 커피 브랜드들의 점포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1500**원 내외 커피가 주력이지만 이 가격에도 얼마든지 남을 수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습니다. 메가커피를 비롯한 저가커피 브랜드 본사의 주된 영업이익을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자재 공급 마진:
    • 본사는 가맹점에 원두, 시럽, 컵, 각종 소모품 등을 공급하며 원가와 판매가의 차이를 통해 수익을 얻습니다.
    • 이는 본사의 가장 큰 수익원이며, 가맹점의 매출이 증가할수록 본사의 이익도 증가하는 구조입니다.
  2. 가맹비 및 교육비:
    • 가맹점을 새롭게 오픈할 때 가맹비, 인테리어비, 교육비 등을 부과하여 초기 투자금의 일부를 수익으로 확보합니다.
  3. 로열티 및 광고비:
    • 일부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가맹점 매출의 일정 비율을 로열티로 받기도 합니다.
    • 또한, 본사가 운영하는 광고 마케팅에 대한 비용을 가맹점주가 부담하는 구조로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4. 본사 영업이익률

 

2023 컴포즈커피의 영업이익률이 41%라고 하여 모두를 놀라게 한 적이 있습니다. 물론 급증한 가맹점의 가맹비 등이 큰 요인이었습니다만 저가커피 가맹본부들의 영업이익률은 저가니가 영업이익률이 낮을 거야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일 가능성이 큽니다. 저가 커피 본사의 높은 영업이익률은 비단 메가커피에 한정되는 이야기는 아닌 듯합니다.

 

저가커피브랜드의매출액 분석

 

5. 향후 전망과 과제

메가커피의 성공 사례는 저가커피 시장이 얼마나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1. 브랜드 차별화 전략: 경쟁이 심화되는 시장에서 단순히 저렴한 가격과 대용량만으로는 차별화가 어렵습니다. 품질 유지와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필요합니다.

2. 가맹점과의 상생: 가맹점주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지원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원자재 공급가를 낮추거나 운영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3. 해외 시장 진출: 국내 시장이 포화 상태에 가까워지면서 해외 진출이 중요한 성장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6. 결론

메가커피는 1,500원짜리 커피를 판매하면서도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저가커피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효율적인 프랜차이즈 모델, 원가 절감 전략, 빠른 매장 확장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높은 수익성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치열한 경쟁과 가맹점주들과의 상생 문제는 지속적인 과제로 남아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저가커피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메가커피가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