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SG, 글루탐산 나트륨?, 글루타민산 나트륨? 차이

by 다다익선/건강•돈•재미•지식 2025. 3. 17.

식탁위의 왕자 , 'MSG'!
이것을 넣지 않고서는 맛을 내는 것이 것의 불가능하다. 한 때 좀 한다는 식당 마다 "우리 집은 화학조미료 MSG를 쓰지 않습니다"라고 자랑스럽게 붙여 놓는 게 유행이었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이런  식당을 볼 수가 없어졌다. 그만큼 MSG를 쓰지 않고 맛을 낸다는 것이 어렵다는 뜻이기도 하고 이제 대부분 MSG가 몸에 나쁜 물질이 아니라는 걸 다 안다는 뜻이기도 하리라. 한 그릇에 2만원에 육박하는 유명 냉면집들도 MSG를 안쓴다는 표시가 없다. 정말이지 특히 물냉면 맛의 거의 9할은 MSG 맛이다. .그런데  이 'MSG'를 어떤 사람은 <글루탐산 나트륨>이라허고 또 어떤 사람은 <글루타민산 나트륨>라고 한다. 무엇이 맞을까? 같은 걸까?
 

1. MSG의 정확한 명칭

정확한 한 영어 명칭은 "모노 소디움 글루타메이트"(Monosodium Glutamate)이다. '소디움'은 나트륨(Na)이라는 의미이고 '모노'는 알다시피 하나라는 뜻이다.  즉 나트륨이 하나 붙은 글루탐산이라는 의미다. 이걸 우리말로 옮겨 부르는 이름이 '글루탐산 나트륨'이다. 즉 글루타민산 나트륨은 틀린말이다. 글루타민산은 있어도 '글루타민산 나트륨'이란 물질은 없다..
 

2. 글루탐산(Glutamic acid)과 글루타민(Glutamine)은 다른 물질

글루탐산을 기본으로 해서 여기에 나트륨(소디움)이 붙으면 글루탐산 나트륨이 되고 아민기(-NH2)가 붙으면 글루타민이 된다. 

    2-1. 글루탐산(Glutamic acid)

  • 단백질을 구성하는 20가지 아미노산 중 하나
  • 산성 아미노산(측쇄에 카복실기(-COOH)를 가짐)
  • 뇌에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
  • MSG(모노소듐 글루탐산, 조미료)의 원료

    2-2. 글루타민(Glutamine)

  • 글루탐산에 아민기(-NH2)가 추가된 형태
  • 비필수 아미노산 (몸에서 합성 가능)
  • 근육 회복, 장 건강, 면역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
  • 운동 후 단백질 보충제로도 많이 사용됨
글루타민은 글루탐산에 아민기(NH2)가 붙은 아미노산이다

 

3. MSG의 정체

탄수화물도, 단백질도, 지방도 아니다.  굳이 하나를 선택한다면 단백질(아미노산)에 가깝다...  

  • 아미노산? ❌ → 글루탐산(Glutamic acid)은 아미노산이지만, MSG는 그 염(salt) 형태라서 엄밀히 말하면 아미노산 자체는 아님.
  • 탄수화물? ❌ → 탄수화물(당류)과는 전혀 관련 없음.
  • 지방? ❌ → 지방(지방산, 중성지방 등)과도 무관.
  • 무기염류? ❌ → Na(나트륨)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인 무기염류(예: NaCl, KCl)와는 다름.

 

4. MSG를 표현하는 가장 적절한 말 : "감칠맛을 내는 유기화합물"

📌 이유

  1. **감칠맛(우마미, Umami)**을 내는 대표적인 물질 → MSG(글루탐산 나트륨)
  2.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나트륨(Na)으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
  3.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같은 영양소는 아님
  4. 자연에도 존재(토마토, 치즈, 다시마 등) 하지만, 식품 첨가물로도 사용됨

 

5. 그럼 msg는  우리 몸에 이로울까 해로울까? 

우리 몸에 해로운지, 이로운지는 우리 몸에서 어떻게 분해되어 어떤 작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우선이다. 
 
1️⃣ 섭취 후 분해 과정

  • MSG(글루탐산 나트륨)는 위에서 나트륨(Na⁺)과 글루탐산(Glutamic acid)으로 분리됨
  • 글루탐산은 일반적인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아미노산 대사 경로를 통해 처리됨
  • 소장에서 흡수된 뒤 뇌, 근육, 간 등에서 에너지원 또는 단백질 합성에 활용

2️⃣ 우리 몸에 이로운가? 해로운가?

  • 이로운 점
  • ✅ 글루탐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 하나이며, 신경전달물질로 작용
  • ✅ 소장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일부는 간에서 대사되어 포도당으로 변환 가능
  • ✅ 자연 식품(토마토, 다시마, 치즈 등)에도 존재
  • 해롭다는 주장과 반박
  • ❌ 1968년 "중국음식 증후군(Chinese Restaurant Syndrome)" 논란이 있었으나,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음
  • WHO, FDA, EFSA(유럽식품안전청) 등 주요 보건기관에서 안전하다고 판정
  • ❌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일부 민감한 사람들에게 두통, 메스꺼움 등의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은 있음(개인차 존재)

    📌 결국
       MSG는 우리 몸에서 일반적인 글루탐산과 동일하게 대사되며, 적정량 섭취할 경우 해롭지 않다.
       즉, 정상적인 식사에서 섭취하는 MSG는 건강에 큰 문제가 없다.
 

6.더욱 진전된 결론
: MSG "해롭지 않다" or "이롭다"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한다면?

" 답 : 이롭다."
MSG는 일종의 아미노산, 글루탐산에 나트륨이 부가된 것이다. 단순히 "해롭지 않다" 수준이 아니라, 적정량 섭취 시 신체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끝> 다다익선 2025. 3. 17